본문 바로가기

AWS20

[AWS] AWS 시작하기 -4 인바운드 설정 및 EC2 에 접근해보기 그럼 이제 인바운드 설정을 해봅시다. Moba를 켜주고 sudo apt update 를 해줍니다. 그러면 update를 진행합니다. sudo apt install tomcat9 을 입력하여 tomcat9 을 인스톨해줍니다. 인스톨 되었다면 sudo apt install net-tools 를 통해 net-tools 를 인스톨하고, netstat -nlpt 를 입력하여 포트번호를 확인합니다. tcp6 을 확인해보면 8080이 보입니다. 이제 aws에 로그인합니다. 인스턴스 탭에 들어간 후 인스턴스 탭 하단에 있는 보안 탭을 클릭 보안탭에서 보안그룹을 클릭합니다. 보안그룹 하단 인바운드 규칙에서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클릭합니다. 규칙 추가를 눌러 규칙을 추가해줍니다. 유형 , 포트범위. 소스 를 검은색 네모칸.. 2023. 2. 13.
[Linux] 리눅스 문법 명령어 모음 (Ubuntu 사용) SHELL이란? 사용자 - OS (우분투) - 컴퓨터 간의 대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언어이다. ******* 본인은 MobaXterm 프로그램 사용 ****** 명령어 : clear - 콘솔 화면을 깨끗하게 정리 pwd - 현재의 경로를 알려줌 cd - cd.. 폴더 이동할때 사용 ex) cd .. 점 2개붙히면 한칸 위로 가라는 뜻 - cd경로 해당 경로로 이동 ex) cd/home , cd ubuntu , cd / cd / 슬래쉬 의경우 같은 상위폴더 소속이면 /를 안붙이고 아니라면 붙여야함 (절대경로 - 상대경로 의 개념임) ls - 현재 폴더에있는 모든 파일과 상태 보여줌 - ls -l 상태를 자세하게 볼 수 있음 ( 여기서 작대기 (-) 는 파일이고 d ~ 는 폴더를 의미함 ) - ls - ls .. 2023. 2. 12.
[AWS] AWS 시작하기 -3 방화벽 개념 잡기 로컬에서 AWS 로 접속할 때 AWS 에는 방화벽이 설정되어있다, 우리가 ip주소 22번으로 원격 접속을 시도한다면, 이 방화벽은 우선적으로 모든 포트를 차단한다 (0번부터 65535번 까지 2^16의 수) 이에 접근하려면 인바운드 규칙 을 따로 설정해서 22를 개방 후 접근해야 한다. 이 22번 포트는 SSH 프로그램으로 접근 가능하다 SSH : Secure Shell 인데 여기서 Shell이란 사람이 OS를 통해 하드웨어를 제어하는데 사람 -> OS 를 거칠때 사용하는 명령어 를 Shell 이라고한다. OS는 Shell을 받아 컨버팅을 해서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즉 우리는 저번시간을 통해 SSH로 22번 포트를 통해 AWS에 접근 한 상황이고, 이제부터 Shell 명령어를 원격으로 사용 가능한것이다... 2023. 2. 12.
[AWS] AWS 시작하기 - 2 windows 로 EC2 원격 접속하기 TEST 이번엔 EC2 에 원격으로 접속합니다. 인터넷에 Mobaxterm 을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Installer Edition) 으로 받아주세요 설치는 next 만 눌러주세요 (설정할거없음) moba를 실행한 후 Session 을 클릭합니다. SSH (Secure Shell) 을 클릭합니다. -1 에서 만들었던 EC2 - 인스턴스 에 들어가 인스턴스를 클릭 후 나오는 퍼블릭 IPv4 주소를 위 moba - session - ssh 에 Remote Host 에 기입합니다. Remote host 에 복사해온 ipv4 , Specifiy username 에 체크 후 ubuntu , port 는 22번 으로 맞춰줍니다. 그 후 Advanced SSH Settings 를 클릭 후 1 - 2 - 3 의 순서.. 2023.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