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2 [Git] git pull 에러 발생시(our local changes to the following files would be overwritten by merge) merge 충돌 ▶ 해결방법 1 : git stash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을 임시로 백업하고 깨끗한 상태로 돌린다. - 버전관리 되는 대상 파일들을 임시저장 해둔다고 보면 된다. 1) 해당 명령어를 통해 현재 Staging 영역에 있는 파일의 변경사항을 스택에 넣어 둔다. #git stash 2) master에서 pull하거나, git checkout 등 원격 저장소에서 내 로컬 브랜치로 변경사항을 적용한다. # git pull origin master 3) 변경 사항을 적용하고, 스택에서 제거 한다. # git stash pop 한번에 실행 할 수도 있다. # git stash && git pull origin master && git stash pop 이후 정상적으로 git pull이 가능 한 것을볼 수 있다. .. 2023. 2. 9. Spring JPA 에서 Foreign Key 걸린 컬럼 삭제시 - orphanRemoval = true @OneToMany(mappedBy = "image",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 comments; foreign key 걸린 comment 들을 자동으로 삭제해준다. 총 댓글 5개가 삭제되었다. 2023. 2. 7. JPA의 양방향 연관관계의 주인 @MappedBy Post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Getter @Setter @Entity public class Post { . . . . . . @JsonIgnoreProperties({"post"}) @OneToMany(mappedBy = "post") private List postLikes; } Post ( 게시판 ) 에 postLikes (좋아요) 의 정보를 가져오고 싶을 때 사용한 @OneToMany(MappedBy = "post") OneToMany는 하나의 게시판에서 여러개의 좋아요를 가져와야하기 때문에 OneToMany고 MappedBy 는 PostLikes(도메인)가 가진 Post타입의 변수 ( 아래 코드를 보면 post) @AllArgs.. 2023. 2. 6. [Spring] Model(Entity) 유니크 컬럼 만들기 예제 @Table( uniqueConstraints = { @UniqueConstraint( name = "likes_uk", columnNames = {"imageId", "userId"} ) } ) name = 그냥 유니크 키의 이름임. 신경 안써도됨 보통 _uk 를 붙임 columnNames = 말 그대로 유니크 키로 만들 컬럼 네임 2023. 2. 4. <c:choose> , <c:when> EL태그 끼리 비교할 시 예제 만약 ${principal.user.username} 과 ${list.commentUser} 를 비교하고 싶으면 아래처럼 하면 된다. X 2023. 2. 4. 개발 필수 아이템 포스트맨 사용법 - 로그인 , ajax의 api통신 포함 로그인시 URL주소와 Post 선택 - body - x-www-form-urlencoded 선택 -> key값, value 값 기입후 send 완료 시 로그인완료 페이지가 밑에 불러와짐. ajax 요청시 ajax의 URL 과 ajax로 요청한 타입 선택 - params 선택 - Body 우측에 JSON 혹은 TEXT로 결과값 선택 가능 2023. 2. 4. [오류해결] Uncaught TypeError: "" is not a function 오타를 아무리찾아도 오류가 해결되지않는다면 아마 id나 name 이름과 function 이름과 동일해서 그런것이다. 중복되지 않도록 바꿔주면 해결 2023. 2. 2. Model ( Entity ) 만들 때 LocalDateTime 가공하기 1) LocalDateTime -> String 으로 ex) 2023-02-02 21:26 private String createDate; @PrePersist public void createDate(){ this.createDate = LocalDateTime.now().format(DateTimeFormatter.ofPattern("yyyy-MM-dd HH:mm:ss")); } 2023. 2. 2.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