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AWS + Linux

[AWS] AWS로 배포하기 엘라스틱 빈스톡 사용하기 -2

by pyogowoon 2023. 2. 15.

 

 

 엘라스틱 빈스톡이 생성되었다면, 좌측 중단 

 환경으로 이동 을 클릭합니다.

 

 

어떤 화면이 뜹니다. 이 화면은 샘플 화면입니다. 즉 연결이 성공적으로 되었다는 뜻입니다.

 또한 샘플화면은 자동적으로 포트번호 80을 가집니다.

 

 

 

f12 개발자모드 network 로 확인해보면, 아이피 3.38.4.11 에 포트번호 80이 붙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38.4.11:80

3.38.4.11:80

 그리고 EC2의 인스턴스를 가보면 생성한적도 없는 EC2가 생겼습니다. 또한 퍼블릭 IPv4 주소도 생겼네요.

 

 

 EC2의 보안- 인바운드 규칙 편집으로 가서 포트 5000번을 추가합니다.

 

 

 

인바운드 규칙 후  url에 IPv4 주소:5000 을 기입해도 샘플화면에 접속 가능합니다. 

 

 

 엘라스틱 빈스톡은 생성시 자동으로 EC2를 생성합니다.

 

또한 EC2 내부에 JDK가 설치가 되고 샘플코드는 포트번호 5000을  가집니다.

 

, NGINX 서버( 프록시 ) 가 만들어집니다,  샘플코드는 포트번호 80을 가집니다.

 

 또한 로드밸런서가 생성되는데 이 로드밸런서가 위에서 언급한

이 80포트를 가진 녀석입니다.

 엘라스틱 빈스톡을 생성시 포트80을 가지고 대기합니다.

 로드밸런서는 EC2 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로드밸런서의 DNS name은 저희가 환경으로 이동 클릭 시 나온 도메인 주소와 같습니다.

 

로직은 이렇습니다.

 

1. 로드밸런서가 80포트를 가지고 요청 

2. NGINX 서버( 프록시) 80포트로 받고 내부적으로 5000포트 호출

3. 5000포트 가진 JDK의 샘플코드 동작 

4. 샘플 화면 등장

 

여기서 NGINX 서버는 외부 IP요청을 거부합니다.

 같은 보안그룹으로 묶인 요청만 받습니다.

 

즉 같은 보안그룹인 로드밸런서와 EC2의 요청을 받습니다.

 

간단하게 NGINX에는 로드밸런서만이 접근 가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