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한 mobaXterm 에서 git 버전을 확인해봅니다.
여기서 다루는 배포 방법은 git을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git이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pwd 를 입력하여 현재 경로가 /home/ubuntu 인지 확인 후
git clone (git에 등록된 프로젝트 주소) 를 입력합니다.
git clone 으로 다운로드 받고
ls (자세히 보기 명령어) 를 쳐보면 내가 clone한 git repository의 이름이 나오고,
cd 경로 ( 윗 사진의 경우 cd AWS-service-test)
경로에 진입한 후 ls 명령어를 처보면 내 프로젝트가 잘 다운됬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gradlew 을 통해 테스트와 빌드를 해볼것이고 이걸 실행파일로 변환해야 합니다.
JAVA의 경우 JAR 가 실행파일 이므로 JAR로 변경하는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전체적인 순서를 보면 이렇게 됩니다.
1. github 다운 받기
2. gradlew 실행권한주기
3. 자바 설치 (JDK , JRE 간단하게 JDK 는 개발하기 위해서 필요, JRE는 실행/접근하기 위해 필요)
4. gradlew로 프로젝트를 JAR 파일로 변경하기
5. JAVA로 JAR를 실행
gradlew 실행 권한 주기
ls -l 명령어를 실행해봅니다.
gradlew 폴더가 하얀색 폰트이고, 좌측 빨간선을 보면 -rw-rw-r-- 입니다 ( 자세히 몰라도 됩니다 그냥 실행권한 없다 정도)
여기서 chmod u+x gradlew 을 입력합니다. (권한 부여하는것, u = 소유자 x= 실행권한 을 grdlew 에 부여)
그리고 ls -l 을 입력하면
gradlew 이 초록색 폰트로 변경되었고. -rw -> -rwx 로 실행권한이 부여되었습니다.
이제 ./gradlew build 를 입력해봅니다.
JAVA를 설치하라고 나옵니다. 우분투 내에 JAVA가 설치되지 않았기 떄문입니다, 설치해줍니다.
우선 sudo apt update 를 입력하여 동기화 부터 해줍니다.
동기화가 끝났다면
sudo apt-cache search jdk | grep openjdk-11 을 입력해봅니다. 우리는 여기서 OpenJdk Development Kit (JDK) 를
가져와야 합니다.
sudo apt install openjdk-11-jdk 를 입력합니다.
맨 마지막줄 계속할것이냐 물어보면 y를 입력합니다.
다운로드 끝났다면
java --version 을 입력합니다.
설치가 잘 됐습니다.
이제 아까 못한 ./gradlew build 를 실행하면
빌드가 잘 됐습니다. JAR 파일로 구워졌습니다.
구워진 상태에서 ls 로 확인해보면 파란색 폰트로 build 라는 파일이 하나 생겼습니다.
cd build/ 로 진입하고
ls 로 자세히 보면 libs 파일이 있습니다.
cd libs 로 진입 후
ls로 자세히 보면 JAR 파일이 하나 생겼습니다.
java -jar v1-0.0.1-SNAPSHOT.jar 를 입력합니다.
jar 폴더가 단일일때는
java -jar *.jar 로 해도 무방합니다.
jar 폴더를 실행하니 반가운 익숙한 화면이 나옵니다.
그럼 잘 실행되는지 확인해봅시다.
@Slf4j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aws/v1")
public String hello(@RequestParam(defaultValue = "1") Integer number){
if(number == 1){ // info 로그
log.info("/aws/v1 이 호출되었어요. info 로그 ###########################");
}else if(number == -1){ // error 로그
log.error("/aws/v1이 호출되었어요. error 로그 #########################");
}else if(number == 0){ // warn 로그
log.warn("/aws/v1이 호출되었어요. warn 로그 ###########################");
}
return "<h1>aws v1</h1>";
}
}
제가 TEST로 github에 등록한 프로젝트의 컨트롤러 입니다.
이제
본인탄력적 아이피:8080/본인컨트롤러 에 접속해봅니다.
log.info 도 잘 나옵니다. (error 로그는 제가 일부로 띄운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Terminal 을 종료하면 홈페이지에도 접근할 수 없습니다.
Terminal 이 꺼져도 유지되는 방법은 있습니다. 그건 -3에서 다룹니다.
'AWS > AW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로 배포하기 기본적인 방법 -4 nohup의 표준 출력 , 에러 출력 분리 및 Time-zone 세팅 (0) | 2023.02.14 |
---|---|
[AWS] AWS로 배포하기 기본적인 방법 -3 nohup 사용해보기 (0) | 2023.02.14 |
[AWS] AWS로 배포하기 기본적인 방법 - 1 (0) | 2023.02.14 |
[AWS] AWS 시작하기 -4 인바운드 설정 및 EC2 에 접근해보기 (0) | 2023.02.13 |
[AWS] AWS 시작하기 -3 방화벽 개념 잡기 (0) | 2023.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