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Git
git-scm.com
해당 부분 클릭
본인은 바탕화면에 아이콘 추가를 원해서 첫번째를 체크했습니다. 안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Windows Explorer Intergration 은 무조건 꼭 체크해주세요.
Git Bash는 매우 유용합니다.
기본값으로 체크
기본값으로 체크
환경변수 설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Git from the command line and also from 3rd-party software
써드파티 소프트웨어에서 Git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한 경로 추가하겠다는 소리입니다. 가운데꺼 체크해주세요
기본값으로 체크
기본값으로 체크
기본값으로 체크
기본값으로 체크
기본값으로 체크
Git Credential Manager 를 사용으로 체크해주세요. git 인증정보 캐시 설정 등 수월하게 해줍니다.
둘다 큰 의미는 없습니다. Enable file System caching은 시스템 메모리를 캐싱해서 좀더 빠르게해준다고 하는데
그냥 체크하고 넘깁니다.
그렇다면 설치가 진행 됩니다.
설치가 모두 진행되었다면
Git bash 를 켜주세요
설치과정에서 Git bash가 유용하다고 했는데
Git bash
는 윈도우 OS환경에서도 리눅스 커맨드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유용합니다.
git --version
을 입력합니다.
버전이 잘 뜹니다.
이제 name과 email을 등록합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가쓸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가쓸이메일"
이름과 이메일은 추후 변경 가능합니다만 github 계정과 맞춰주세요.
그리고
git config --list
으로 잘 등록됐는지 확인합니다.
최하단 2번째줄부터 보면
잘 등록됐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란? (0) | 2023.01.30 |
---|---|
[Git] 깃의 구성, Git Areas (0) | 2023.01.30 |
[Git] Github 토큰 생성 방법 (0) | 2023.01.30 |
[Git] intellij 로 git 협업하기 - 2 인텔리제이 깃 연동 (0) | 2023.01.30 |
[Git] Git branch 사용 이유와 명령어 (0) | 2023.01.26 |
댓글